연구정보

교내연구지원사업

TOTAL

15 건

IRF(Innovative Research Fellowship)

1. 목적

 

가. 우리 대학 전임교원의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 인력을 지원

 

나. 학문후속세대 지원을 통한 우수 연구 인력 양성

 

다.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이어주는 역할을 통해 대학 전체 연구경쟁력과 학부생들의 실용 연구역량을 강화

 

 

2. 지원대상

 

본교 교원인사규정에 의한 연구교수 자격을 충족하고, 책임교원의 추천을 받은 다음 사항을 충족하는 부설연구기관(청구지원기관) 소속 연구교수

 

- 박사학위 소지자

- 국제학술지에 주저자 논문게재 실적이 있는 자

 

 

3. 지원내용

 

- 1인당 최대 월 400만 원 지급

   (교비 최대 월 200만원 매칭 + 책임교원 연구과제에서 교비 지원금과 동일 금액 매칭)

 

- 연구인턴 인건비 50만 원(교비 별도 지원)

   * 퇴직금(년 400만원/1인)과 4대보험 법인부담금(월 40만원/1인)은 소속부설연구기관(또는 청구지원기관)에서 부담

 

- 2023학년도 모집 : 4명 모집, 5월 중 공고, 9월 임용

  * 2024학년도 3월 임용 모집 일정 : 2명 모집 예정, 2023학년도 11월 중 공고

 

   

4. 의무사항

 

1) 책임교원

    ① 연구교원 지원금 중 책임교원 분담금 납부

    ② 연구교원의 연구공간, 연구기자재, 가구 및 비품 등의 제공 

    ③ 연구교원이 중도 퇴직하는 경우 의무 논문 등재 편수 이행 등은 연구산학처와 협의

 

2) 연구교원

    ① 연구 지원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 제출

    ② 연구 성과물(논문)은 개시 6개월 부터 종료 후 2년 이내 발간된 논문으로 제출

    ③ 연구 주제 범주가 UN SDGs 1개 이상 연관성을 가질 것

    ④ 연구 인턴십*  3개월 이상 의무 운용

     * 연구 인턴십

       - 자격 : 세종캠퍼스 소속 학부 3~4학년 재학생 또는 석사 재학생

       - 지원 : 별도 양식의 결과보고서 제출하면 50만 원의 근로인건비(기타소득) 및 연구산학처장 명의 수료증 수여

       - 예산 : 연구산학처에서 별도 지원

 

 

5. 제출서류

 

① 연구교원 추천 신청서 1부

② 연구계획서 1부

③ 연구교원 연구실적 목록 1부

④ 연구인턴십 참가신청 및 추천서 1부

    

 

6. 결과보고서 제출

 

① 반드시 책임교원과 공동연구로 진행하여야 하며, 주저자(제1저자, 교신저자)로 등재된 논문만 인정

② 개시 6개월 부터 종료 후 2년 이내 발간된 논문으로 제출

③ 국제전문학술지(SCIE, SSCI, A&HCI)로 한정함

④ 연구결과물에 “고려대학교에서 지원된 연구비로 수행되었음 (Supported by a Korea University Grant)” 사사 표기. 단, 추천교원과 연구교원은 모든 논문에 공동주저자여야 하며, 아래의 기준으로 인정함

 

JCR IF 상위 비율 사사 충족 기준 예시
분야 상위 50% (50% 미만은 불인정) 100%

- 논문 내 사사 1개 이하 1편

- 논문 내 사사 4개 이하 4편

 

⑤ 기한 내 미제출 시 지원금을 책임교원이 반환

⑥ 의무논문 등재 기준에 미달한 연구교원의 책임교원은 향후 유․무급 연구교원 추천을 제한함

 

 

7. 제한사항

 

① 외부지원기관과 동일한 사업일 경우 이중으로 수혜받을 수 없음

② 급여재원이 과제 또는 교비인 연구교수가 본 사업에 선정될 경우, 해임 후 신규임용을 진행해야 함

③ 기수혜 피추전자 재지원시 평가점수에서 회당 10%씩 차감적용함

 

※ T/O 이상의 지원이 있을 경우 부교수/조교수 추천 교원을 70%까지 우선 선발 후 교수 급은 평가점수 순으로 선정함

 

 

KUS 연구공로상 및 석탑연구상

1. KUS 연구공로상

 

1) 목적 : 연구 업적을 기리는 한편, 연구실적 제고를 위한 동기 부여

 

2) 대상 : 석탑연구상 10회 이상 수상자

           ※ 연구공로상 수상자는 이후 석탑연구상 수상 대상자에서 제외함

 

3) 지원 내용 및 세부사항 : 별도 공고문 참조

 

 

2. 세종 석탑연구상

 

1) 목적 : 연구비 수주 및 우수 학술논문 게재 성과 확산 및 연구자 자긍심 고취

 

2) 수상 기준

 

    가. 연구비 수주 부문(협약연구비)

      - 이공계열 : 연간 5억 원 이상

      - 인문/사회/예술체육계열 : 연간 1억 5천만 원 이상

 

    나. 학술논문 부문

      - 연구의 질 : 학문분야별 해당 학술지 IF 상위 백분위 해당 구간의 점수의 합

      - 연구의 양 : 환산편수별 구간 점수 적용

 

    다. 지원 내용 및 세부사항 : 별도 공고문 참조

 

 

국제공동연구 우수논문 지원사업

1. 목적

 

가. 국제공동연구 지원을 통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확대 및 활성화를 통해 우리 대학의 연구의 질 및 국제경쟁력 제고

 

나. 학문후속세대 양성과 우수 연구인력 창출을 위해 해외 연구주체와의 협업 및 공동 연구 경험 축적으로 글로벌 연구중심대학 구현

 

다. 4단계 BK21 대학원 혁신 및 교육연구단(팀) 성과관리

 

 

2. 지원 대상 및 조건

 

가. 지원 대상 : 본교 전임교원 (단독저자, 제1저자, 교신저자)

 

나. 지원 조건 :

  - 본교 전임교원이 참여한 SCI급 저널 논문 게재

  - 연구진 구성 : 본교 전임교원, 해외연구원 총 2명 이상

  - 해외 연구자가 반드시 논문에 참여

   * 해외연구자 : 해외 기관 소속인 자(단, 국내 겸직은 불인정)

  - 2022년 3월 1일 ~ 2023년 2월 28일 기간 중 발간된 논문 기준

  - 신청기간 : 2023년 8월 31일까지 대학원연구교육팀으로 신청

 

 

3. 지원 방법

 

가. 게재(또는 발간) 후 연구자 신청, 세종학술연구운영위원회 심의

 

나.게재사실 및 조건충족 여부를 확인 후 마일리지로 지급

 

다. 신청자는 다음 각 호의 신청 서류를 12월 2일까지 대학원연구교육팀으로 제출하여야 함

    1) 신청서 1부

    2) 부대서류(신청서 붙임자료) 각 1부

    3) 논문에서 국외연구자 소속 확인 불가한 경우 국외기관 재직증명서 등 자격증명 관련 서류

 

 

4. 지원 규모

 

2023학년도 지원 규모 : 총 1,100만 마일리지

 

저자구분 저널 계열구분 IF 상위% 구간 지급 마일리지(편당) 비고
주저자 SCIE, SSCI, A&HCI 이공계열 IF 상위 ~ 2% 150만  
IF 상위 ~ 4% 100만  
IF 상위 ~ 6% 50만  
인문·사회·예체능계열 IF 상위 ~ 10% 150만  
IF 상위 ~ 25% 100만  
IF 상위 ~ 40% 50만  

 

* 주저자(제1저자, 교신저자)에 한하여 지원함

 

  • IF는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의 JCR(Journal Citation Report)을 기준으로 하며 전전년도 JCR IF 우수 학술지를 기준으로 지원함 (예: 2023년 발간 논문은 2021년 5-year IF값의 학문분야별 상위 백분위 적용)

 

 

국제학술지 게재 예정 논문 원문교정 지원사업

1. 목적

 

우수한 학술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 신청 전 논문에 대한 영어권의 Native Speaker로 하여금 교정을 보게 함으로써 논문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고, 국제학술지 게재논문을 적극 발굴하여 연구활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2. 신청자격 및 대상과 지원금액

 

가. 신청자격: 본교 전임교원으로서 고려대학교로 소속을 명시하여 게제 예정인 논문의 주저자 (단독,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

 

나. 신청대상: SCIE, SSCI, A&HCI, SCOPUS급 학술지 투고 논문 (단, 영어논문(article, review)에 한하여 교정함)

 

다. 지원금액: 논문 1편당 최대 60만원 (재교정 포함)

 

 

3. 교정업체 안내

 

가. 본교 지정 교정업체: KU-IWS, EDITAGE, 아이케이앤씨(구.HARRISCO), ENAGO, ESSAY REVIEW

 

1) KU-IWS, EDITAGE, HARRISCO, ENAGO, ESSAY REVIEW는 본교와 영문교정에 대한 협약을 체결한 외부전문업체임

 

2) 교정료 약정금액 

   가) KU-IWS: 15,300~18,900원/page(1page=250words)

   나) EDITAGE: 10,000원/page(1page=200words)

   다) 아이케이앤씨(구.HARRISCO): 14,500원/page(1page=24lines, Times New Roman, font size 1)

   라) ENAGO: Economy 프리미엄 교정 34원/word (4일 이내 1~5,000 단어 작업)

   마) ESSAY REVIEW: 39원/word(페이지당 8,360원, 주말 이용 가능)

   바) NURISCO : 50원/word (세종캠퍼스 별도 지정 교정업체)

 

3) 연락처

   가) KU-IWS: (Tel) 02-3290-1547~8, (E-mail) kuiws@korea.ac.kr

   나) EDITAGE:(Tel) 02-3140-4308, (E-mail) direct@editage.com

   다) 아이케이앤씨(구.HARRISCO): (Tel) 02-557-1810~1, (E-mail)  harrisco@harrisco.net

   라)  ENAGO:(Tel) 02-1577-2592, (E-mail) enago@enago.co.kr 

   마) ESSAY REVIEW: (Tel) 02-1522-9180, (E-mail) edit@essayreview.co.kr

   바) NURISCO : (Tel) 02-927-5793~4, (E-mail) nurisco@nate.com

 

나. 타 교정업체 : 본교 지정 교정업체를 제외한 업체

 

 

4. 신청방법과 절차

 

선납부 후 연구포탈(http://rms.korea.ac.kr) 신청

 

가. 원하는 교정업체(본교 지정 교정업체, 타교정업체)에 교정의뢰 후 교정료를 연구자가 선납부함

    1) 교정료 지불시 연구비 법인카드를 사용해야하며, 세금계산서 발행(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도 가능함 (단, 견적서, 계좌이체, 현금지불 등의 증빙만으로는 정산불가)

 

나. 해당논문을 신청대상 학술지에 투고함

 

다. 연구포탈 > 교내연구지원 > 논문교정 신청(의뢰구분에서 타 교정업체를 선택하고 증빙자료 첨부한 후 신청)

 

증빙자료 확인사항
필수(3가지) ① 교정 완료 논문 주저자 여부 및 소속
② 거래명세서 또는 Invoice 이용 내역
③ 투고 확인서(메일교신 내용 등)

주저자 여부 및 소속

게재 예정 학술지

추가서류(IWS민 해당) ④ 은행 이체확인증 IWS 이용 시 본인 납부 확인

 

라. 담당자 검토 후 해당 연구비 법인카드 결제계좌 또는 세금계산서 발행업체로 교정료 지불

 

 

5. 지원내용

 

가. 모든 교정업체의 최대 지원 가능한 교정단가는 본교의 EDITAGE 프리미엄 플러스 교정료 약정금액 기준까지로 동일함

    - EDITAGE 프리미엄 플러스 서비스 약정금액 : 85원/word (부가세 별도)

      1) 프리미엄 플러스 서비스까지 교정 지원 가능함

      2) 프리미엄 플러스 서비스는 1년간 횟수 무관 무료 재교정, 저널 답변서 교정 등의 차이점이 있음 (상세 내용 업체 홈페이지 확인)

      3) 해당 업체는 본교와 영문교정에 대한 협약을 체결한 외부전문업체임

   - 타 교정업체의 경우 일반 교정, 프리미엄 교정 등 원하는 서비스 선택하여 이용 가능함

   

 

6. 기타

 

가. 교정료는 편수에 관계없이 지원함(단, 논문 1편당 최대 60만원 지원)

 

나. 결제한 건은 결제 당월 혹은 익월까지 청구신청을 원칙으로 하되, 반드시 해당 회계연도 내에 신청해야함

 

다. 해당 사업은 당해년도 배정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함

 

라. 2023학년도 관련 사업 예산은 축소될 수 있음

 

마. 본 사업은 산학협력단의 회계관리 관련 규정에 따라 집행되어야 함

부설연구기관 지원사업

1. 목적

 

본교 외부연구비의 간접비 중 일부를 운영비로 지원함으로써 부설연구기관의 원활한 연구수행 및 연구기반을 조성하고자 함

 

 

2. 지원대상

 

본교 주관 간접경비가 계상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부설연구기관

 

 

3. 지원내용

 

가. 부설연구기관 인센티브

 

    1) 소속 부설연구기관의 학술연구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비로 기준간접경비의 최대 10% 상당액을 인센티브로 지원함. 단, 간접경비에서 운영비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지급하지 아니함

 

    2) 대응자금을 지원하는 연구과제의 경우 해당 금액을 차감한 기준간접경비를 산출하여 인센티브를 계산함

 

나. 연구비 청구지원기관 인센티브

 

    1) 부설연구기관이 연구비 청구지원기관으로 지정되어 정산내역 및 변경사항의 입력을 실시하는 경우 기준간접경비의 최대 5% 상당액을 청구지원기관 인센티브로 지원함

 

    2) 부설연구기관이 아닌 청구지원기관인 경우 기준간접경비의 최대 10% 상당액을 청구지원기관 인센티브로 지원함, 단 교내 학술연구활동의 진흥을 위하여 부설연구기관을 별도 지정할 경우 인센티브를 간접비의 5%까지 추가 지원할 수 있음

 

    3) 대응자금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간접경비 배분 시 해당 금액을 간접경비에서 제외한 기준간접경비를 별도로 정하여 인센티브를 지원함

 

    * (기준간접경비)=(간접경비)-(대응자금)

 

구분 부설연구기관 인센티브 연구비 청구지원기관 인센티브 합계
부설연구기관 10% 5% 15%
부설연구기관 외 5%(연구소 별도 지정 要) 10% 15%

 

    ※ 연구소 요청에 의한 비율 조정은 심의를 통해 가능함

 

 

4. 지원방법

 

연구비 수입시점 혹은 지원이 결정된 시점에서 해당 인센티브를 책정하고 인센티브로 지원함

 

 

5. 제한사항

 

가. 연구원에게 지급되는 인센티브 성격의 인건비성 직접비의 집행을 금지함

    ※ 기획예산팀 -0007 ( 2022.03.03 ) '세종캠퍼스 합리적 수당 지급 기준 개선(안) 배포' 문서의 지급 기준 및 방법을 준수할 것

 

나. 연구비 청구업무를 적정하게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간접비 지원금의 지급을 제한하거나, 기지급한 지원금을 환수할 수 있음

 

 

부설연구기관 학술대회 개최 지원사업

1. 목적

 

국내 및 국제학술교류 촉진을 통한 교내 부설연구기관의 연구활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2. 신청자격

 

본교 부설연구기관이 주관기관이 되어 개최하는 학술대회로 학술대회 논문집에 신청 부설연구기관이 주관기관으로 명기되어야 함

 

 

3. 용어정의

 

가. 주관기관: 당해 학술대회의 실무를 담당하는 기관

 

나. 주최기관: 학술대회를 주장하여 개최하는 기관

 

다. 후원기관: 학술대회를 지원하는 기관

 

 

4. 신청시기

 

연중 수시 접수하므로 대회 개최 7일전까지 신청하여야 하며, 기간 내 신청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음

 

 

5. 대회 구분 및 지원내용

 

대회 구분   지원내용
국내학술대회 본교를 제외한 2개 기관 이상의 발표자가 참여하는 전국 규모 공동 학술대회 최대 1,500,000원
국제학술대회 외국에 거주하는 외국기관 소속 연구자가 10인 이상 발표하고, 발표자의 국적이 최소 5개국(한국 포함) 이상인 학술대회 최대 8,000,000원

 

 

6. 신청서류 (※ 학술대회 개최 7일 전까지 신청 및 제출)

 

가. 학술대회 개최지원 신청서 1부

 

나. 개최계획서 1부

 

※ 비용에 대한 사용내역(연구산학처 요청 비용을 포함한 전체 예산)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기록

 

다. 학술대회 프로그램 및 발표논문초록 각 1부

 

 

7. 지원방식

 

가. 지원신청서 검토 후 지원여부를 교내메일 또는 전화로 통보

 

나. 선정산 후지원 방식으로 학술대회 종료 후 결과보고서 및 영수증 제출시 지원

 

※ 연구비 법인카드로 집행하여야 하며, 개인카드 사용분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됨

 

 

8. 결과보고

 

※ 학술대회 종료 후 15일 이내 제출

 

가. 학술대회개최 결과보고서 1부

 

나. 부설연구기관 주관이 명기된 학술대회 논문집 1부

 

다. 지출경비 영수증 원본

    연구비 법인카드 전표, 전자 세금계산서만 가능하며 간이영수증은 불가함

    ※ 지원금은 자문료, 발표수당, 논문발표 사례비 등의 인건비성 경비로 사용할 수 없으며, 논문집 발간경비 등의 직접성 경비로만 사용하여야 함

 

 

9. 선정기준

 

가. 학술대회의 중요도 및 대회 개최의 학문적 의의

 

나. 신청 부설연구기관의 최근 연구활동

 

다. 부설연구기관 자체 자구노력 여부

 

 

10. 제한사항

 

가. 부설연구기관 당 연간 국내 1개, 국제 1개 대회 이내에서 지원함. 다만, 부설연구기관 평가가 우수한 연구소에 대해서는 예산 등을 고려하여 추가 지원할 수 있음

 

나. 해당 사업은 당해년도 배정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함

 

 

세종 미래창의연구사업(KU Sejong Future Research Grant)

1. 사업 명칭

 

KU Sejong Future Research Grant(KU S-FRG, 미래창의연구사업)

 

 

2. 사업 목적 및 배경

 

가. 국책대형연구과제 수주를 위한 기획형 집단연구

나. 창의·도전적 연구사업을 통한 교내 연구역량의 강화

다. 학제간연구 지원사업과 통합하여 세종캠퍼스 대표 융복합 연구 지원사업으로 특화

 

 

3. 2023학년도 공모 과제

 

구분 지원분야 지원대상 모집규모
집단연구 일반공동연구 연구책임자(전임교원) 포함 2인 이상

① 2인, 최대 20,000천원 2개

② 3인 이상, 최대 30,000천원 2개

융복합연구

연구책임자(전임교원) 포함 4인 이상

(인문사회계 + 이공계, 어느 한 분야의 전공자 비율이 2/3 초과 금지)

최대 40,000천원 1개
고대병원과 융합연구 고대병원(구로/안산) 전임교원(및 임상교원)과 함께 연구계획서를 제출한 전임교원

① 30,000천 원 4개

- 예산 : 15,000천원(안산병원) + 15,000천원(세종캠퍼스)

② 40,000천 원 3개

- 예산 : 20,000천원(구로병원) + 20,000천원(세종캠퍼스)

국제공동연구

연구책임자(전임교원) 외 해외공동연구원 1인 이상 (해외공동연구원은 최근 5년간 연구업적 3편 이상, 접수마감일 현재 국외 소속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여야 함)

최대 20,000천원 1개
개인연구 Ⅰ 전임교원 최대 10,000천원 3개
개인연구 Ⅱ 전임교원 과제당 2,000천원 5개

 

  • 구분/분야별 과제비 및 과제수는 접수 및 기타 여건에“세종학술연구운영위원회”를 통해 조정 가능

 

 

4. 사업의 기간

 

2023년 3월 ~ 2024년 2월

 

 

5. 사업의 결과물(연구 종료 1년 이내 제출)

 

가. 집단 연구 : 계열별 과제수주를 우선하여 제출하고, 과제 수주 실패시, 논문게재 결과물 제출

 

구분 제출 결과물 비고
이공계 국책과제 사업 연구비(세종산단협약금액 기준) 년 2억 원, 2년 이상 과제 1개 수주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인정 비율 300% 이상 게재

1. 라. 사사 및 논문 기준 참고

2.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자의 논문을 모두 인정함.

인문사회계 국책과제 사업 연구비(세종산단협약금액 기준) 년 0.5억, 2년 이상 과제 1개 수주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인정 비율 300% 이상 게재

1. 라. 사사 및 논문 기준 참고

2.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자의 논문을 모두 인정함.

 

나. 개인 연구Ⅰ : 계열별 과제수주를 우선하여 제출하고, 과제 수주 실패시, 논문게재 결과물 제출

 

구분 제출 결과물 비고
이공계 국책과제 사업 연구비(세종산단협약금액 기준) 년 2억원 이상 과제 1개 수주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인정 비율 200% 이상 게재 라. 사사 및 논문 기준 참고
인문사회계 국책과제 사업 연구비(세종산단협약금액 기준) 년 0.5억, 2년 이상 과제 1개 수주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인정 비율 200% 이상 게재 라. 사사 및 논문 기준 참고
한국연구재단 등재지(SCOPUS 학술지 게재논문 포함) 인정 비율 400% 이상 게재

 

다. 개인 연구Ⅱ : 한국연구재단 등재지(SCOPUS 학술지 게재논문 포함) 논문 인정비율 200% 이상 게재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인정 비율 100%로 대체 가능)

 

라. 논문사사 : 논문결과물에는 “Supported by a Korea University Grant”의 사사의 글이 기재되어야함. (중복 사사도 인정함.)

 

    1) SCIE, A&HCI, SSCI  국제학술논문

       - 주저자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에 한하여 인정하며, 저자수에 관계없이 인정 비율 동일)

 

계열 IF 기준 인정 비율
이공계 JCR IF 분야 상위 10% 이내 200%
JCR IF 분야 상위 50% 이내 100%
인문사회계 JCR IF 분야 상위 50% 이내 200%
JCR IF 분야 상위 100% 이내 100%

    

* 게재 학술지의 전전년도 JCR 5-year IF 값의 학문분야별 상위 백분위를 기준으로 함(예: 2023년 발간 논문은 2021년 5-year IF값 적용)

 

   2) 한국연구재단 등재지(SCOPUS 학술지 게재논문 포함) 

   - 주저자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에 한하여 인정

 

계열 학술지 구분 총저자수 인정 비율
인문사회계 우수등재지 단독 200%
2인 150%
3인 100%
4인 이상 50%
등재지 단독 150%
2인 120%
3인 80%
4인 이상 50%
이공계 우수등재지 단독, 2인 120%
등재지 3인 이상 80%

 

* 우수등재지 및 등재지 구분은 논문 게재 시점을 기준으로 함.

 

 

6. 심사 및 선정

 

가. 선정 방식 : 연구실적 및 연구계획서 심사, 세종학술연구운영위원회 심의 조정을 거쳐 최종 선정

 

나. 심사 방법 및 내용

 

    1) 연구실적 심사(배점 : 50점)

       - 신청마감일 기준 최근 3년 동안 외부 연구비 수주 실적 : 30점

       - 신청마감일 기준 최근 3년 동안 발표된 대표학술논문 : 20점

         ▶ 집단연구는 5편, 개인연구는 3편에 대한 정성실적(분야 상위)

       - 실적에 따른 점수 배점은 [별첨1] 참고

 

    2) 연구계획서 심사(배점 : 50점) : 계열별 심사위원을 위촉하여 심사

   

평가 항목 배점
연구주제의 적합성 및 연구 방법의 타당성 20
연구계획의 창의성 및 논리성 20
학문발전 및 실용에의 기여도 10
합계 50

 

    3) 2022학년도 S-FRG 과제에 선정되었던 교원의 경우, 전체 평가 점수의 80%만 인정함.

       - 집단 연구의 경우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자에 관계없이 2022학년도에 선정된 교원 참여 여부에 따라 전체 평가 점수의 80%만 인정함

 

 

7. 사업의 관리

 

가. 중간보고서 제출 : 연구종료 2개월 전

 

나. 학술활동결과보고서 제출 : 집단연구에만 한하며,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

 

다. 사업 결과물 제출 : 연구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

 

라. 사업비의 분할 지급 : 사업 개시 시점 75% 배정, 중간보고서 제출 완료 후 나머지 25% 배정

 

 

8. 사업의 성과 관리(의무사항)

 

  유형 의무사항
집단연구 연구성과 발표회 개최 연 1회 이상
포럼, 세미나 개최 등 연 1회 이상

 

※ 중간보고서 및 학술활동결과보고서 제출 시, 의무사항 수행내역을 작성

 

 

9. 제한 요건

 

가. 교내 과제 결과보고서 미제출 교원은 신청을 제한함

나. 전임교원 1명당 1건만 지원 가능


다. 본 사업 종료 후 의무 제출 결과물 미제출 교원은 특별연구비 및 교내 연구과제 신청을 제한할 수 있음

 

 

연구재단파견자 지원사업

1. 목적

 

본교를 대표하여 학술연구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한국연구재단 파견자의 파견기간 동안 학술연구활동을 보조하고자 함

 

 

2. 지원대상

 

가. 한국연구재단에 파견된 본교 전임교원 중 재단으로부터 급여를 보전받는 교원

나. 한국연구재단에 파견된 본교 비전임교원 중 학술연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원하기로 결정하는 교원

 

 

3. 지원내용

 

월 200만원을 연구비로 지원함

※ 파견기간이 월 기준으로 15일이 경과하면 1개월로 산정

 

 

4. 지원방법

 

가. 연구재단파견자 지원사업 대상으로 확정된 후 신청서류를 대학원연구교육팀으로 제출

나. 신청서류: 특별연구비 신청서 1부, 연구계획서 1부

 

 

5. 기타

 

파견기간을 산정한 소급분을 매월 말 경 지원함

 

 

외국석학 초청강연회 지원사업

1. 목적

 

국제적 수준의 외국석학을 초청하여 최근의 학문적 성과를 본교에 제공하고 본교 학문발전에 기여하며 외국석학과의 유대강화를 통해 국제학술행사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

 

 

2. 대상자격

 

국제적으로 학술적 권위가 높은 저명 학자로서 학술회의 및 학회 수상자, 국제적 저명 상 수상자, SSCI, SCIE, A&HCI Editor 및 Editorial Board Member, 국제학회 회장급 등 이에 준하는 학자

 

 

3. 신청기간

 

연중 수시 접수하므로 초청강연 행사 7일전까지 반드시 신청하여야 하며, 기간 내 신청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음

 

 

4. 신청방법과 선정기준

 

가. 해당 전공교수 3인 이상과 대학장의 추천을 받아 본교 부설연구기관 또는 학과(부)에서 제출한 신청서를 검토하여 지원여부를 신청교원에게 안내함

 

나. 외국석학의 국제적 지명도와 강연 내용이 국내학계 및 본교 학술활동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함

 

 

5. 지원금액, 방법 및 내용

 

가. 지원금액

    1) A급: 노벨상 수상자 등 이에 준하는 자로 1회당 최대 1,000만원 지원 

    2) B급: 1회당 최대 500만원 지원

 

나. 지원방법

    1) 선정산 후지원 방식으로 강연회 종료 후 15일 이내에 결과보고서 제출 시 지원

    2) 연구비 법인카드로 집행하여야 하며, 개인카드 사용분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

 

다. 지원내용

    1) 왕복항공료, 체재비(숙박비, 식비 등) 등 여비: 국외여비규정 상한선을 초과할 수 없음

    2) 행사비: 대관비, 리셉션, 시설관련 부대비용, 강연집 발간 경비 등 직접경비

    3) 강연료: 1회당 최대 150만원

    ※ 단기 취업비자를 취득하여 입국한 자에 한해 지원함

 

 

6. 제한조건

 

가. 동일 부설연구기관, 학과(부)의 지원신청은 연 2회에 한함

 

나. 외국석학이 연구산학처에서 지원하는 국제학술대회에서 강연하는 경우에는 지원불가(동일 기간 동안 이중수혜 불가원칙)

 

다. 해당 사업은 당해년도 배정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함

 

 

7. 제출서류

 

가. 신청서 1부: 연구포털의 ‘연구지원 정보 > 자료실(연구처) > 양식’에서 내려받기

 

나. 강연계획서 1부

 

다. 초청외국석학 학력 및 경력업적서 1부

 

 

8. 결과보고

 

가. 결과보고서 1부: 강연회 녹화 파일(USB) 제출을 권장함

 

나. 강연내용 및 주요 강연참석자 명단

 

다. 강연자 여권 사본(인적사항, 비자, 출입국 도장 면) 및 보딩 패스 원본

 

라. 지출경비 영수증: 영수증 원본(연구비 법인카드전표, 전자세금계산서 등)

 

마. 기타 관련서류 사본

 

 

 

외국인 석·박사과정 입학생 재정보증서 발급사업

1. 목적

  

본교의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입학생 중 외국인을 대상으로 본교 총장명의 재정보증서를 발급하여, 비자발급을 포함한 입국 수속 과정에 편의를 제공하고 우수 대학원생을 확보하여 교원의 연구실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2. 신청자격

 

본교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 과정 입학을 허가받은 외국인 학생 중 입학을 위한 비자발급 과정에서 요구되는 재정보증 여건을 충족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학생의 지도교수

 

 

3. 지원조건

 

가. 본 지원사업을 통해 발급된 서류는 비자발급을 위한 재정보증 용도로만 유효함

나. 재정보증서 발급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발급을 제한할 수 있음

 

 

4. 지원절차

 

해당 학과의 공문에 의거한 명단의 입학 허가 외국인 학생 대상으로 발급함

 

 

 

1

/

2